【고양인터넷신문】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로 분출된 ‘부동산 투기’ 공분이 재·보권선거 등 모든 것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고 있는 가운데, 이재준 고양시장의 수상한 부동산 거래가 쏘아올린 공이 어디까지 파장을 몰고 갈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재준 고양시장이 지난해 일산동구 식사동 위시티일산자이4단지 아파트를 매입한 이후 국토교통부가 고양창릉 3기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고양선 트램연장(고양시청역~식사)이 발표되면서 식사동 일대 아파트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투기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이와 관련 언론과 중앙의 방송이 이재준 고양시장의 부동산 매입에 의혹을 제기하며 “이 시장이 지난해 3월 식사동 위시티일산자이 아파트 1채(162.7㎡)를 7억1500만원에 매수했고, 지난해 12월 국토교통부가 식사동에 '트램'을 건설한다고 발표하면서 아파트 가격이 급등, 이 시장이 매입한 아파트는 지난달 12억7000만원에 실거래됨에 따라 이 시장은 매수한 지 불과 1년여만에 5억5500만원이 오른 것이며 현재 호가는 무려 15억에 달한다”며 “이 시장은 위시티일산자이 아파트를 매수하기 위해 금융권에서 5억원 가량 대출을 받아 ‘영끌’에 가까운 투자를 해, 현재 실거래가 기준으로 이미 대출금을 상환하고도 남을 시세차익을 거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나 이재준 시장은 식사동 아파트 매입 이후인 지난해 9월 고양시의회(제247회) 시정질문 답변에서 “LH에서 추진하고 있는 고양선 신설 관련 사전조사용역은 작년(2019년) 11월에 착수해서 올해 11월 말로 추진이 되고 있다”며 “(이에)우리 시는 고양선 식사역 연장을 반영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수립하여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을 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고, 미반영 시에는 창릉지구 관련 어떠한 협조도 어렵다는 공문을 국토교통부와 LH에 발송한 바 있다”며 고양선 식사 연장을 강력 추진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 시장은 “현재 새절~고양시청(고양선) 구간 사업비 절감방안을 LH에 제시하고 협의 중에 있으며, 식사 연장 구간 사업비 최소화 방안에 대해서도 자체 검토 중으로, 식사 연장 구간 소요 사업비에 대해서는 새절~고양시청 구간 사업비 확정 후 LH와 절감액을 가지고 식사 연장 활용과 상호 사업비 분담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시의회에서 답변했다.
비록 국토교통부가 고양선의 식사 연장이 아닌 신교통수단(트램)을 도입하기로 했지만, 그나마 다행이라며 식사동 지역주민들이 환영했고 부동산은 급등했으며, 고양시가 2019년 10월 국토교통부에 조정대상지역 해제를 요청해 삼송·지축 등 신규 택지개발지구를 제외한 고양시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됨에 따라 부동산 대출이 용이해졌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두고 고양시민과 시의회 등에서는 “고양시 정책 책임자 위치에 있는 고양시장의 식사동 아파트 매입은 적절치 못하다(이해충돌의 여지가 있다)”는 의견과 함께 투기 의혹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으로 이재준 시장의 부동산 매입 의혹이 고양시 정치권과 공직사회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은데, 먼저 지난 3월 18일 고양시가 창릉 3기신도시 투기의혹과 관련 공직자와 시 산하 고양도시관리공사 도시개발부서 직원 등 4050명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창릉 신도시지구 내 토지매입자는 없고 인근 지역에서 토지를 매수한 경우가 5명 있지만 투기 개연성은 낮다고 발표했는데, 경기도와 마찬가지로 전 공직자를 대상으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을 위한 가족의 동의서를 받고 창릉신도시 뿐만 아니라 고양시에서 진행된 택지 및 도시개발사업 전체로 확대해야 할 것과 다음으로 이재준 시장은 물론 전·현직 시·도의원 등 정치권도 수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고양시의회 여·야 3당 의원들이 지난 29일 의원총회를 열고 투기의혹 전수조사를 위해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을 위한 가족의 동의서를 제출하여 조사 또는 수사에 응하는 방안을 논의했으나 무위로 끝나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