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인터넷신문】고양시의회 고덕희 의원이 16일 개최된 제272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식사동 유해시설 문제는 고양시가 산지 복구를 원칙대로만 했다면 벌써 해결됐을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고양시의 미온적 대응을 지적했다.
식사동·고봉동 일대에는 양일초등학교 등 학교와 아파트 주위에 대규모 건축폐기물처리장, 레미콘공장, 골재장 등 유해시설이 있어 지속적으로 민원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현재까지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 고 의원은 “폐기물처리시설로 운영될 수 없는 임야 한가운데에 비정상적으로 유해시설이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고 의원이 토지대장을 확인한 결과, 인선이엔티 사업장이 위치한 식사동 산 151번지(5,355㎡)와 산 152번지(1만3,84㎡)의 지목은 임야로 두 지역의 면적만 총 1만9,339㎡인데, 폐기물처리시설의 한가운데 있다.
고 의원은 “토지대장에 있는 지목대로라면 도저히 폐기물처리장을 할 수 없는 곳”이라며 “이곳은 2009년 6월 8일 도시계획시설(폐기물처리시설) 실시계획인가 폐지 고시에 따라 산지로 복구됐어야 하는 곳”이라고 지적했다.
업체 측이 2007년 3월 9일 도시계획시설 실시계획 인가를 받았지만, 이후 시는 기간 내 사업 미착공, 원상복구 통보 미이행, 실시계획인가 기간 만료 등을 이유로 실시계획인가를 폐지했기 때문이다.
고 의원은 “시는 13년 동안 인선에 복구설계서 기간 내 복구를 완료하고 복구준공검사신청서를 제출하라고 했지만, 현재까지 이뤄지지 않았다”며 “2021년 업체는 2026년까지 5단계에 걸쳐 복구하겠다는 계획서를 제출했지만, 1단계(1,914㎡, 2022년 12월 말까지) 복구조차 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복구예치비 4억6,414만 원이 있기 때문에 시는 얼마든지 대집행을 할 수 있는데도 안하고 있다”며 “13년간 복구를 유예해주고 다시 5년을 유예해주는 고양시의 특혜도, 업체도 대단하지 않냐”며 꼬집었다.
뿐만 아니라 인접한 식사동 724-26외 3필지 7,937㎡도 1·2종 근린생활시설로 9개동을 허가받고 실제로는 2개동만 짓고, 준공을 받지 않은채 사무실로 쓰고 그 외는 골재를 산처럼 쌓아놓고 골재처리장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 외에도 제대로 된 석면검사, 유해시설 집중점검, 불법소각 집중단속 등은 이뤄지지 않았고, 대기배출시설은 쉬지 않고 계속 가동돼왔음을 증명했다. 고 의원은 “대기배출시설 일일조업 시간을 보면 인선이엔티는 배출구 1~18에서 하루 12시간, 1년에 300일을, 배출구 19와 20에서 하루 20시간, 1년에 350일 쉬지 않고 가동되고, 신성콘트리트공업은 하루 16시간 1년에 300일을, 주식회사 대봉은 하루 10시간 1년 230일 조업한다”며 “공장이 가동되는 시간만큼 주민들은 스트레스가 가중돼 생존권을 위협받고 있는데도, 시간대별 대기배출시설 운영내역 자료가 없다”고 지적했다.
고덕희 의원은 “이같은 사실은 108만 시민을 기만하고 속인 것이나 다름없다”며 “비산먼지와 소음으로 등교거부를 하고 있는 지역에서 있을 수 없는 행정으로 누구를 위한 행정이냐”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까지의 일을 어떻게 해명할 것이냐”며 “2009년에 산지복구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벌써 식사동 유해시설 문제는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재차 행정의 미온적 대응을 지적하면서 빠른 시일내에 제대로 된 현장점검과 함께 원칙대로 산지복구를 조속하게 집행하라고 주문했다.
답변에 나선 이동환 고양시장은 “양일초와 주민들의 환경 피해에 공감한다”라며 “해당 사업장들을 연 3회 이상 정기점검을 실시하는 중점관리대상으로 분류해 더욱 엄격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또 산지복구 미이행업체에 대해 “1단계 산지복구는 2022년 12월 말에 됐어야 했다”며 “업체가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넣은 만큼 권익위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최종 정리를 하겠다”고 답했다. 끝으로 고덕희 의원은 “현장에 답이 있는 만큼 빠른 시일내 현장 답사를 함께 실시하자”고 제의했고 시장도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