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5-31 15:47

  • 뉴스 > 고양뉴스

고양시장 포함 2023년 고양시 시·도의원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 공개

기사입력 2023-03-30 19:49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고양인터넷신문】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30일 공개한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에 따르면 이동환 고양시장은 이전 재산액 보다 334만 원 감소한 123,892만 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양시 시·도의원 중 김수진 시의원은 가장 많은 728,845만 원을 신고했으며, 오준환 도의원이 723,738만 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정부공직윤리위원회는 공개 대상인 도지사, 1급 이상 공무원, 도의원, 시장·군수 등 195명을,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자윤리법10(등록재산의 공개) 규정에 따라 관할 재산공개 대상자 466명에 대한 정기재산변동사항 신고 내역을 공개했다. 신고 내역은 20221231일 기준으로 공직자 본인과 배우자, 부모 등 직계 존·비속의 재산이다.

 

재산등록의무자는 공직자윤리법 제6조에 따라 매년 11일부터 12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다음해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하며,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같은 법 제10조에 따라 관할 재산공개대상자의 신고내역을 신고 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
 

 

한편, 경기도 시군의원과 도 산하 공공기관장의 평균 재산이 119,069만 원으로 전년도보다 1,056만 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공개대상자 신고재산 평균은 119,069만 원으로, 민선 7기인 전년도 평균 12125만 원과 비교해 소폭 줄었다.

 

신고내역을 살펴보면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신고한 271(58%)은 평균 8,218만 원이 증가했고 재산이 감소한 195(42%)은 평균 25,774만 원이 줄어들었다. 가구당 재산 규모는 5억 원 이하가 182(39%), 5~10억 원 116(25%), 10~20억 원 98(21%), 20억 원 이상 70(15%)으로 전체 공개대상자 중 298(64%)10억 원 미만이다.

 

재산 증가 주요 요인은 상속을 포함한 부동산 매입, 전년 대비 공시가격 상승, 급여 및 보험·예금 저축 증가 등이다. 반면 감소요인은 건물·토지 매각 및 가계 대출에 따른 채무액 증가, 신고재산의 고지 거부 등이다.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번 재산공개자의 재산변동사항에 대해 6월 말까지(필요시 3개월 연장 가능)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심사 시 등록재산을 거짓으로 기재했거나 중대한 과실로 누락 또는 잘못 기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산상 이익을 취득하면 공직자윤리법 제8조의 2에 따라 경고, 시정조치, 과태료 처분을 취할 방침이다.

조연덕 (gyinews22@naver.com)

댓글0

스팸방지코드
0/500